: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서로 다른 값들이 하나의 변수로 처리되는 자료구조.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저장
장점 : 인덱스 번호로 접근하기 때문에 빠르게 데이터 위치 접근 가능
단점 : 생성시 길이를 지정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 추가/삭제가 어려움
선언
자료형[] 배열이름;
int[] Array;
자료형 배열이름;
int Array[];
생성
배열이름 = new 자료형[길이];
Array = new int[10];
일반적으로 선언과 동시에 생성함
자료형[] 배열이름 = new 자료형[길이];
int[] Array = new int[100];
선언과 동시에 배열 크기와 초기값 지정 가능
//아래 두개 다 같은 배열크기, 초기값 지정
int[] Array = {0,1,2,3,4};
int[] Array = new int[] {0,1,2,3,4};
//String 버전
String[] array = {"mon", "tue", "wed"};
다차원 배열 선언 가능
//2차원 배열
int Array[][] = new int[2][3]; //2행 3열 배열 생성
int Array[][] = { {1, 2, 3},
{4, 5, 6} }; //2행 3열
//3차원 배열
int[][][] arr = new int[2][2][3];
int[][][] arr = {
{
{1, 2, 3},
{4, 5, 6}
},
{
{7, 8, 9},
{10, 11, 12}
}
};
** indexOf("찾을 특정 문자", "시작할 위치")
: 특정 문자(or 숫자)가 해당 문자열에 있으면 해당 문자(or 숫자)의 위치(index 값)을 리턴하고, 없으면 -1을 리턴하는 함수.
시작할 위치를 생략하면 0번째부터(처음) 찾기 시작하고, 시작 위치를 지정해주면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여 해당 문자가 위치한 위치를 0번째 기준으로 출력.
String AA = "Hello world";
System.out.println(AA.indexOf("o") // 0번째부터 찾기 시작함 -> 4 반환
System.out.println(AA.indexOf("o", 5) // 5번째부터 찾기 시작함 -> 7 반환
System.out.println(AA.indexOf("x") // -1 반환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