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JAVA + SPRING

공부/JAVA + SPRING

JAVA 스터디 2 JVM 구조

JVM 구조 클래스 로더 시스템 ● .class 에서 바이트코드를 읽고 메모리에 저장 > 바이트코드를 javac를 통해 decompile 해서 사람 눈에 쉽게 볼수 잇게 해줌 ● 클래스로더 하는일 1. 로딩: 클래스(바이트코드) 읽어오는 과정 2. 링크: 레퍼런스를 연결하는 과정 3. 초기화: static 값들 초기화 및 변수에 할당 메모리 ● 메모스 영역에는 클래스 수준의 정보 (클래스 이름, 부모 클래스 이름, 메소드, 변수) 저장. 공유 자원이다. > 클래스 수준의 정보들이 메소드에 저장됨. 메소드에 저장된 건 공유자원=참조가능 ● 힙 영역에는 객체를 저장. 공유 자원이다. > 인스턴스 저장 >> 그외에 스택, PC,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은 쓰레드에 국한됨. 쓰레드에서만 공유하는 자원 ● 스택 영역..

공부/JAVA + SPRING

JAVA 스터디 1 JAVA, JVM, JDK, JRE 이해하기

* 본 포스팅은 인프런 강의 "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강의를 보고 정리한 것임 JVM(Java Virtual Machine) ● 자바 가상머신으로 자바 바이트 코드(.class 파일)를 OS에 특화된 코드로 변환(인터프리터와 JIT컴파일러) 하여 어떻게 실행할지에 대한 표준 스펙 > 바이트 코드 : 클래스 파일 안에 들어 있는 Complied ~ } 까지가 모두 바이트 코드 ●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는 표준(JVM 자체는 표준)이자 구현체(특정 밴더가 구현한 JVM)다. ● JVM 스팩: https://docs.oracle.com/javase/specs/jvms/se11/html/ > JVM 스펙을 여러 벤더에서 스펙에만 맞춰서 마음대로 구현할수 있음 ● JVM 밴더: 오라클, 아마존..

공부/JAVA + SPRING

IntelliJ Spring Boot devtools setting 데브툴즈 셋팅

개발하다보면 html, css, javascript 와 같이 정적인 것들은 수정한걸 바로바로 확인하고 고치고 해야하는데 그때마다 매번 재시작, 재부팅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좀 화날 때가 많다. 그래서 서버 재시작 없이 정적 리소스(HTML, CSS 등) 실시간 반영하는 데브툴즈 셋팅 방법! devtools 란? devtools는 Spring boot에서 제공하는 개발 편의를 위한 모듈이다. 개발을 하다보면 수정 사항을 바로 바로 확인해야하는데 브라우저에서 수정한 걸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해야하고 실행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컴퓨터에도 부담이고 이런저런 문제가 있음.그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모듈이 devtools 5가지의 기능이 있지만 나는 그 중에서 Automatic Restart 포스팅하고자..

_룰루
'공부/JAVA + 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